【인생소감】2023년ㅡ동서남북으로 뛰어보다
李光仁 朝鲜族足迹
2024年01月18日 11:40

2023.9.2. 양림 관련 산서 석루현성의 "홍군동정기념관"을 찾아보다
2023년ㅡ동서남북으로 뛰어보다
1
지난해 2023년 5월 18일, 연길시 백산호텔 3층회의실에서 “홍군장령 양림 학술토론회”가 사상 처음으로 성황리에 열리였다. 양림 학술토론회는 연변대학 원 총장 박문일교수와 원 부총장 김진검교수, 최후택교수 등 분들의 피타는 노력과 관련 이들, 관련 부문의 뜨거운 지지의 결과이지만, 양림 평전 저자이고 양림 전문 연구가이기도 한 나의 받들림이 없으면 열리기 어려운 학술토론회기도 하였다.

2023.5.18. 연길에서의 홍군장령 양림 학술토론회를 앞두고 연변대학 박문일 전임총장 사무실에서 박문일 전임 교장(가운데 분), 김진검 전임 부교장(우 1), 최후책교수 모여앉아 진지하게 관련 사항을 토의하다.
그만큼 우리 민족 력사연구가의 한사람인 나의 책임은 자못 무겁다하겠다. 돌이켜보면 갓 흘러간 2023년은 꾸준히 우리 력사연구와 어울려 온 한해였다.
벌써 열다섯번 째로 써보는 “인생소감”이다. 소흥 절강월수대 시절의 2009년부터 해마다 년말이나 년초이면 흘러간 한해를 총화지으면서 한해 한번씩 꼬오꼭 인생소감을 써보았으니 어언속에 열다섯번 째로 맞이하는 해 ㅡ2023년은 나의 생애에서 정녕 잊을수 없는 활기로운 한해인것 같다. 이 한해속에 연길에서 열린 양림 학술토론회를 비롯하여 많고많은 일을 하였으니 그 가운데의 주요한 성과하나가 양림 학술토론회라면 오정묵평전ㅡ“진흙길 우에서 흐르는 발자국”(상하 2권, 100여 만자) 출판, 30여 만자에 달하는 당년 조선의용군 대원인 “최동광평전” 초고도 주요성과의 하나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2023.9.2. 연안의 청량산. 사진속 보이는 저 청량산 너머 어딘가에 일찍 중공하북성위 서기와 천진시위 서기를 력임하였던 조선족 리철부의 묘소가 있건만 지금은 찾을 수가 없어.
그밖에 나는 “신라인 김교각 평전”(잠시 이름), “태항산 아리랑” 집필과 “최동광 평전” 완성고, “중국서부려행” 등 여러 부 저서의 집필을 위해 옹근 한해치고 장장 여러 달이란 시간을 내내 우리 력사 현지답사와 관련 일로 보내면서 여지껏 모르던 숱한 새로운 발견을 하였다. 조선족 홍보, 동서남북 종횡 등 300편 스핀호(视频号) 촬영과 편집, 올리기에도 열성을 보이면서 기꺼운 효과를 보고있다. 그속에서 2023년 한해는 빨리도 흘러갔다. 동서남북으로 뛰고 뛴, 정말이지 나름대로 맘껏 살아 온 2023년이였다고 할수 있겠다.
아래 이왕과 마찬가지ㅡ현지답사로 이어온, 지굿게도 현지답사의 길을 이어온 2023년의 하루 또 하루와 답사, 온 가족의 뜨거운 받들림속에서 벌리어 온 종횡무진을 그대로 적어 봄도 보람있는 일이라 보아진다.

2023.9.1. 산서 석루현 하가와촌 산정에 세워진 홍군장령 양림기념비
2
1. 2023, 5.12 ~ 7.12 연변행:
♦ 2023.5.18. 연길시 “홍군장령 양림 학술토론회”
♦ 2023. 5.24. 홍군장령 양림 관련 룡정좌담회 (룡정시위 관련 책임자들과 연변대학 전임 교장 박문일, 전임 부교장 김진검, 최후택교수, 오장숙 전임 주인대주임 등 참석)
♦ 2023.5.29. 훈춘시 연통라자와 대황구 항일근거지 답사 (오정묵 후원, 박철, 정두길 동행)

2023.5.29. 관련 이들과 더불어 훈춘시 대황구항일유격근거지를 찾아
♦ 2023.5.30. 연변인물연구회 양림 학술토론회 총화모임
♦ 왕청현 라자구 신선동과 라자구 각지 답사 (오정묵 후원, 박철, 정두길, 김동선 동행)
♦ 2023.6.2. 룡정시 덕신 남양평경찰서 옛터를 처음으로 현지확인 (오정묵 등)
♦ 2023. 6.3. 왕청현 북하마탕과 십리평, 금창 등지 현지답사 (오정묵 후원, 박철, 정두길 김동선 동행)
♦ 2023.6.10. 왕청현 남하마탕, 다홍왜, 십리평, 금창, 두황자 재차 답사 (김동선 , 조현일 동행)

2023.9.18. 하북 섭현 석문촌에 위치한 조선의용군 석정, 진광화 원 묘소
♦ 2023.6.12. 력사팬 리경옥씨 안내로 항일의 터전이던 룡정시 동불사 위자구 항일의 현장 현지답사 (조현일 동행)
♦ 2023.6.19. 연변인물연구회 회의, 연길감옥 옛터 새촬영
♦ 2023.6.28. 룡정시 룡주사 옛터 처음 확인, 도문시 일광산 현지답사 (오정묵 후원, 정두길 동행)
♦ 2023.6.29. 룡정시 지신진 장재 동골 현지답사, 오봉산 오봉사 옛터를 처음 확인 (오정묵, 김득찬, 정두길 동행)
◎연변서 처음 찾아낸 력사유적들:
1. 반일 관련 왕청현 라자구 신선동 옛 동굴 처음 확인
2. 룡정시 일제남양평경찰서 옛터 처음 확인
3. 왕청현 금창, 두황자 옛 항일터전 처음 찾아
4. 룡정 옛 룡주사를 처음 확인
5. 룡정 옛 오봉사를 처음 확인

2023.11.23. 호북 로하구에 위치한, 옛 조선의용대 등 주숙지였던 그제날 복민병원(福民医院) 옛 건물 여전해
2. 2023.7.29 ~ 8.8. 청해-감숙 가족서부행:
♦ 2023.7.30. 감숙 天水 麦积山 유람답사
♦ 2023.7.1. 감숙 황하 石林 유람답사
♦ 2023.8.2. 청해 大柴旦,水上雅丹 유람답사


2023.8.3. 딸애의 안내로 감숙 옥문관을 현지답사
♦ 2023.8.3. 청해와 감숙 翡翠湖,玉门关,敦煌 유람답사
♦ 2023.8.4. 감숙 阳关, 月牙泉 유람답사

2023.8.4. 감숙 월아천을 유람답사

2023.8.5. 감숙 가욕관을 유람답사
♦ 2023.8.5. 감숙 瓜子 大地之子,嘉峪关,七彩丹霞 유람답사
♦ 2023.8.6. 祁连山 넘어 감숙 서녕에 도착
♦ 2023.8.7. 란주 황하가를 유람답사
♦ 2023.8.8. 항공편으로 란주를 떠나다
3
3. 2023.8.29 ~ 9.22 서안-연안 행:
♦ 2023.8.29. 연태~정주 공항
♦2023.8.30.정주~서안고속철.서안의小雁塔,大兴善寺,青龙寺,大雁塔 현지답사
♦ 2023.8.31. 서안~연안행 (绿皮车 리용). 황하 第一湾 현지답사, 섬서 清涧县城 도착.

2023.9.21. 하북 찬황현 황북평촌에 위치한 조선의용군 4렬사 묘소 현지답사
♦ 2023.9.1. 红军东征, 양림 관련 황하 량안의 섬서 袁家沟와 高家洼, 河口촌, 산서 贺家洼촌, 황하제1만, 留村 현지답사. 산서 石楼현성에 도착.
♦ 2023.9.2. 홍군동정 관련 황하 남안의 산서 석루현 십원춘 광장, 东征기념관,交口县 千佛洞, 연안혁명기념관 현지답사。
♦ 2023.9.3. 연안 罗家坪 조선의용군 옛 주둔지 재답사 마치고 서안으로 돌아오다.
♦ 2023.9.4. 황하 壶口폭포, 산서 림분 팔로군포병퇀 탄생옛터 현지답사.

2023.9.18. 하북 좌권현 동욕진 상무촌에 위치한 조선의용군 무명렬사묘 현지답사
♦ 2023.9.5. 산서 河津市 룡문풍경구와 섬서 韩城市 룡문古渡, 司马迁墓와 신라인 김교각 관련 서안시 변두리의 禅宗寺 현지답사.
♦ 2023.9.6. 하남 三门峡의 函谷关, 陕州地坑院, 三门峡 황하공원 등 현지답사.
♦ 2023.9.7. 명산 락양 老君山 유람답사.
♦ 2023.9.8. 락양 龙门石窟과 白马寺, 락양박물관 현지답사.
♦ 2023.9.9. 락양 백마사 다시 현지답사, 락양 떠나 정주 도착
♦ 2023.9.10. 정주 황하풍경명승지, 大型炎黄二帝塑像 유람답사.
♦ 2023.9.11. 정주 少林寺 崇山崇岳寺, 法王寺 현지답사
♦ 2023.9.12. 정주 2.7기념관 현지답사

2023.9.20. 하북 한단시 진기로예렬사릉원에 위치한 조선의용군 진광화렬사 묘소 현지답사
♦ 2023.9.13. 서안 小雁塔 현지답사
♦ 2023. 9.14. 하남 정주 떠나 산서 长治로 가다.
♦ 2023.9.15. 장치를 떠나 태항산대협곡으로 가다. 青龙峡, 林州대협곡 현지답사.
♦ 2023.9.16. 태항산대협곡의 红旗渠 分水菀,青年洞 유람답사. 도중에 露水河서 흥나는 탐석.
♦ 2023.9.17. 홍기거도 分水菀 주숙지 떠나 당년 조선의용군 주둔지와 황무지 개간지인 하북성 涉县 五指山풍경구 현지답사.
♦ 2023.9.18. 하북 섭현 南庄村, 中原村, 赤岩村, 石门村과 산서 左权县의 麻田, 云头底村, 桐峪村 上武村 현지답사. 동욕진 상무촌에서 조선의용군 무명렬사묘를 처음 찾아내다.
♦ 2023.9.19. 조선의용군 관련 좌권현의 黄崖洞, 北艾铺, 南艾铺,窑门口, 흑룡동,청룡동, 십자령,장자령 …현지답사.
♦ 2023.9.20. 좌권현 조선의용군 진광화, 석정 희생지ㅡ庄子岭와 邯郸市 진기로예렬사릉원(진광화, 석정의 묘가 있음) 현지답사.
♦ 2023.9.21. 좌권현 黄北坪村 조선의용군4렬사묘, 胡家庄전투현지 답사마치고 하북 석가장으로 가다.
♦ 2023.9.22. 석가장~영성행 고속철로 귀가

2023.9.2. 산서 석루현성에 위치한 홍군동정기념관 현지답사
4
4. 2023.9.27 ~ 10.2 추석 위해-연변 행:
5. 2023.10.8 ~10.14. 재차 위해-서안 행:
♦ 2023.10.9. 신라인 김교각 관련 서안 小雁塔내 첫 현지답사
♦ 2023.10.10. 락양 룡문석굴, 백거이 白园 재차 유람답사.이어 팔로군락양판사처기념관, 백제 의자왕 관련 락양 应天门, 락양 항전기념관 등 현지답사.
♦ 2023.10.11. 하남땅 中岳崇山 崇岳寺, 法王寺, 塔林, 少林寺, 玄奘寺,玄奘故里, 夏朝遗址博物馆 등 현지답사.
♦ 2023.10.12. 조선의용대 관련 락양 황하 맹진나루터ㅡ铁谢渡口, 백제 의자왕이 묻힌 락양 봉황대촌 현지답사.
♦ 2023.10.13. 락양 떠나 하남 공의(巩义)도착. 공의의 두보 옛집과 두보기념관, 석굴사,북송 황제 조광윤 등 옛 릉원 현지답사.
♦ 2023.10.14. 하남 공의를 떠나 산동 영성으로 귀가.

2023. 10.13. 하남 공의에 위치한 당나라 시인 두보의 옛집을 현지답사
6. 2023.11.1 강음-의흥-장흥 하루행:
♦ 강소 강음시(江阴市) 서하객(명나라 지리학자,려행가, 문학가) 옛집 가족 현지답사.
♦ 강소 의흥시(宜兴市) 송몽규 관련 징광선사 가족 현지답사.
♦ 절강 장흥현(长兴县)현성선사(显圣禅寺) 가족 현지답사.
7. 2023.11.13~11.28. 중경-성도-무한 행:
♦ 2023.11.13. 상해 출발,중경 解放碑步行街 현지답사

2023.9.20. 조선의용군 진광화의 희생지ㅡ산서 좌권현 장자령의 벼랑바위를 찾아. 사진속 왼쪽으로 보이는 높은 벼랑바위가 진광화가 뛰여내린 벼랑바위
♦ 2023.11.14. 중경 조선의용대 최동광 관련 巴南区南泉镇红旗村 日本战俘营,조선의용대중경주둔지ㅡ弹子石孙家花园,两江汇合处,중경부두와 민생호 옛터ㅡ朝天门,南山一棵树,69楼展望台,李子坝站,洪崖洞 등 현지답사.
♦ 2023.11.15. 중경 渣宰洞,白公馆 등 현지답사.
♦ 2023.11.16. 중경-자중(资中) 행. 신라인 김교각 관련 녕국사, 중룡산(重龙山), 군자천(君子泉), 永庆寺,三元塔 등 현지답사.
♦ 2023.11.17. 성도 昭觉寺,文殊院,杜甫草堂,望江楼 등 현지답사.
♦ 2023.11.18. 신라인 김교각 관련 성도 菩提寺遗址,大慈寺 등 현지답사
♦ 2023.11.19. 섬서 안강시(安康市) 안강공원 현지답사.
♦ 2023.11.20. 섬서 안강시 신라공원내 신라인 김교각 관련 옛 신라사유적지(新罗寺遗址) 현지답사. 한강에서 탐석.

2023.11.20. 섬서 안강시에 위치한 당나라 시절 옛 신라사 옛터 현지답사
♦ 2023.11.21. 섬서 안강 떠나 호북 무당산으로 출발.
♦ 2023.11.22. 명산 호북 무당산(武当山)에 오르다.
♦ 2023.11.23. 조선의용대 최동광 등 관련 호북 로하구(老河口) 중산공원과 福民医院, 第五战区纪念馆 현지답사.
♦ 2023.11.24. 호북 로하구 떠나 경산시(京山市)로 이동.
♦ 2023.11.25. 경산시 宋河镇 파초사촌(芭蕉寺村) 新罗太子墓 옛터와 新罗泉 등 현지답사

2023.11.25. 호북 경산시 송하진 파초사촌에 세워진 옛 신라태자 안내비 현지답사
♦ 2023.11.26. 무한 황학루(黄鹤楼) 두번 찾아 오르다.
♦ 2023.11,27. 조선의용대 관련 무한 황학루, 조선의용대 설립 옛터, 호북성무창실험소학교, 호북성총공회 등지 현지답사.
♦ 2023.11.28. 무한 떠나 상해로 돌아오다.
5
8. 2023,12.1 ~ 12.4. 상해-소흥 가족행:
♦ 2023.12.1. 절강 소흥에 가다.
♦ 2023,12.2. 소흥 도시광장 옛탑, 부산(府山),탑산(塔山), 로신 옛집, 심원(沈园)등 돌아보다.
♦ 2023.12.3. 절강월수외국어대 캠퍼스 돌아보고 부근의 대우릉(大禹陵)을 유람하다.

2023.11.3. 절강 소흥 회계산에 위치한 대우릉 현지답사
♦ 2023.12.5. 신라인 김교각 관련 절강의 명산, 소흥 회계산(会稽山)에 오르다.
9. 2023.12. 13 ~ 12.16. 안휘 구화산 주변 행:
♦ 2023.12.13. 李白墓(安徽马鞍山市当涂县太白镇太白村) 현지답사
♦ 2023.12.14. 신라인 김교각 관련 广济寺,广济寺塔(安徽芜湖市镜湖区九华中路212号)현지답사와 五华山 隐静禅寺(安徽芜湖市繁昌区平铺镇)현지답사
♦ 2023.12.15. 신라인 김교각 관련 南山寺(安徽芜湖市南陵县何湾镇南山村),김교각 관련 大士阁 (安徽铜陵市郊区大通镇)등 현지답사.
♦ 2023.12.16. 신라인 김교각 관련 坐寂禅寺(安徽青阳县乔木乡凌塘村坐寂山)현지답사. 당나라 신라인 최치원 관련 双女坟 (南京市高淳区固城镇)재차 답사와 九龙山(南京市高淳区蒋山村)등 현지답사.

2023.9.17. 당년 조선의용군 황무지 개간 현지인 하북 섭현의 오지산풍경구 현지답사
10. 2023.12.19 ~ 12.20. 양주-진강 행:
♦ 2023.12.19. 강소 양주 대명사(扬州大明寺),신라인 최치원기념관과 기념비, 瘦西湖 현지답사.
♦ 2023.12.20. 신라인 김교각 기리는 강소 진강 고숭선사(高崇禅寺)와 금산사(金山寺) 현지답사.

2023.11.14. 조선의용군 전사 최동광 등이 입대전 일본인 협의로 투옥되였던 중경 교외의 농촌마을 현지답사
◎처음 찾아낸 력사유적지들:
♦ 조선의용대 관련 중경 巴南区南泉镇의 日本战俘营 옛터와 조선의용대 시초 중경주둔지 弹子石 손가화원을 첫사람으로 처음 찾아내다.
♦1941년 새해 첫날 중경에서 활동하던 최채 소속 조선의용대 총대부 일부 간부들과 제1지대, 제3지대 대원들이 중경부두에서 “민생호”기선에 오르던 옛 부두를 첫사람으로 처음 찾아내고 “민생호” 래력을 밝혀내다.
♦ 1944년 봄, 국민당전장에서 활동하던 조선의용대가 여러 패로 나뉘여 태항산근거지로 진출하면서 황하를 건너던 락양 맹진나루터를 첫사람으로 처음 찾아내다.

1944년 봄 조선의용대가 황하를 건너 태항산근거지로 진출하던 때의 황하 맹진나루터를 처음 찾아내다
♦ 조선의용대 주둔지인 호북성 로하구 복민병원(福民医院) 옛 건물을 처음 찾아내다.
♦ 1936년 2월, 홍군장령 양림이 희생된 산서 석루현 하가와촌의 희생지를 첫사람으로 처음 찾아내다.
♦ 무정장군이 이끄는 조선의용군이 태항산 오지산에서 황무지를 개간했던 력사의 현지를 첫사람으로 처음 찾아내다.
♦ 조선의용군 태항산 오지산 아래 주둔지와 정률성 주숙지를 필자로서는 처음 찾아내다.
♦ 좌권현 동욕진 상무촌의 조선의용대 무명렬사묘를 처음 찾아내다.

2023.11,14. 1941년 새해 첫날 조선의용대가 "민생호" 기선을 타고 중경을 출발하던 그 시절 중경부두를 찾아 내다
♦ 1942년 6월, 조선의용군 진광화, 석정이 장렬히 희생된 좌권현 장자령 희생지를 처음 찾아내다.
♦ 1942년 5월 반“소탕전”에서 조선동지들이 적들의 포위를 돌파하며 전전하던 좌권현의 북애포, 남애포 요문구, 흑룡동, 청룡동, 십자령, 장자령 모두를 처음 현지답사하다.
♦ 신라인 김교각이 안휘 구화산에 앞서 머무르던 서안의 사찰들인 소연탑, 대연탑, 대흥선사, 청룡사를 처음 찾아보다.

2023.10.9. 신라인 지장왕 김교각이 일찍 머물렀던 서안의 小雁塔 현지답사
♦ 신라인 김교각이 구화산에 앞서 머무르던 안휘 芜湖, 铜陵,南陵,青阳 등지 사찰들을 차례로 처음 찾아내다.
♦ 신라인 김교각이 머무르던 하남 정주 소림사 부근의 숭악사와 법왕사를 처음 찾아내다.
♦ 신라인 김교각이 머무르던 강소 진강의 고숭선사(高崇禅寺)를 처음 찾아내다.
♦ 옛날 백제 의자왕(百济义慈王) 락양 봉황대촌의 무덤자리를 찾아내다.

2023.10.12. 백제 의자왕의 묘소로 알려진 , 락양 변두리에 위치한 봉황대촌 묘소자리를 찾아
♦ 섬서성 최남단 안강시(安康市)에서 옛 신라사유적지(新罗寺遗址)를 찾아내다.
♦ 호북성 경산시 송하진(京山市宋河镇)파초사촌(芭蕉寺村)에서 옛 신라태자묘와 신라천(新罗泉)을 찾아내다.
♦ 하남 락양의 백마사(白马寺)를 두번 현지답사하면서 이곳 백마사가 동한 영평(东汉永平) 11년 (기원 68년)에 불교가 중국에 처음으로 전해진후 세운 관방에서 세운 첫 사찰(第一座官办寺院)이고, 조선, 일본, 월남 등 나라에 다시 전해진 释源이고 祖庭임을 처음으로 알게 되다.
♦ 당지에서는 하남 정주의 법왕사와 강소 진강의 고숭선사를 안휘 구화산외 두번째 “지장보살 도장”(地藏菩萨道场)으로 각기 부름을 처음 알게 되다.
2024년 1월 16~17일 정리

2023.12.5. 강소 진강에 위치한 신라인 김교각 관련 고숭선사 현지답사

2023.12.19. 강소 양주에 위치한 당나라 시절 신라인 최치원기념관 현지답사

2023.9.5. 섬서 한성시에 위치한 사마천 묘소를 현지답사

2023.11.1. 강소 강음시에 위치한 명나라 지질학자 서하객의 옛집 현지답사


2023.9.16. 하남 림주(원 림현)에 위치한 지난세기 60년대 창조물 홍기거도를 유람답사

2023.11.27. 중국 4대루각의 하나인 무한 황학루를 유람답사
2024년 1월 18일